• 최종편집 2024-04-18(목)
 
  • -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 와성지구에 2027년까지 약 79만㎡ 규모 부지조성

- 경남 최대 규모의 첨단복합물류센터 건립으로 1만 8천여 명 고용 창출

- 올해 최대 규모인 2조 원 투자유치로 지역경제에 큰 활력 부여

- 환경․사회․투명 경영 가치 반영한 개발사업…지역발전 위한 노력 강구

 

경상남도는 17일 오전 도청 도정회의실에서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 ESR켄달스퀘어(주), 경남신항만(주)와 함께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 와성지구 개발 및 첨단복합물류건립 투자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날 협약식은 김병규 경제부지사, 김기영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청장, 남선우 ESR켄달스퀘어(주) 대표이사, 문용웅 켄달스퀘어자산운용(주) 대표이사, 정호상 경남신항만(주) 대표이사 등 관계자들과 코트라 강남훈 선임위원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총투자 규모는 2조 원으로 1만 8천여 명(간접고용)의 신규 일자리가 창출된다.

 

경남신항만(주)는 2027년까지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 와성지구에 약 3천억 원을 투자하여 공유수면 매립으로 790,200㎡의 부지를 조성하며, ESR켄달스퀘어(주)는 조성된 부지에 1조 7천억 원을 투자하여 대규모 첨단복합물류센터를 건립할 계획이다.

 

투자협약체결(1).png
사진/경남도

첨단복합물류센터란 첨단 물류시설‧장비‧설비를 갖추고, 출고·재고관리 등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자동화 운영 시스템을 도입한 시설이다. 저비용, 고효율, 안전성, 친환경성 등에서 우수한 성능을 발휘하는 물류창고의 기능뿐만 아니라 물류가공, 택배, 컨테이너 등 고부가가치 복합 물류 기능을 한다.

 

이번 투자협약을 진행하는 ESR켄달스퀘어(주)는 2014년 글로벌 물류부동산 투자사인 ESR과 합작투자로 설립되었으며 국내계열사로는 켄달스퀘어자산운용(주)와 켄달스퀘어리츠운용(주)를 통해 투자활동을 이어나가고 있다. ESR는 홍콩증시에 상장된 글로벌 투자기업으로서 전 세계 약 190조 원(USD 149 billion) 규모의 투자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고 국내에서도 37개의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다.

 

ESR켄달스퀘어(주)는 연면적 110만 평, 투자규모 4조 원의 물류센터 투자와 개발 플랫폼 구축으로 국내에서 가장 많은 물류센터 투자 및 운영 실적을 보유하고 있으며, 경남에도 진해 두동지구, 김해 상동지구에 물류센터를 건립하여 쿠팡, GS리테일 등이 입주하고 있다. 와성지구는 경남에서 3번째 투자처로 경남내에서는 최대 규모의 첨단복합물류센터를 건립하게 된다.

 

또한 물류센터 개발부터 운영에 이르기까지 전 자산 생애주기에 환경․사회․투명 경영(ESG)*요소를 적극 반영하여 지속가능경영도 추구하고 있다.

 

2018년, 2020년, 2021년 세계 최고 권위의 부동산 관련 이에스지(ESG) 평가인 GRESB(Global Real Estate Sustainability Benchmark)에서 아시아 물류센터 부문 1위를 달성한 바 있다.

 

* 이에스지(ESG) : Environmental (환경), Social (사회), Governance (지배구조)의 약자로 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비재무적 필수

 

앞으로 환경․사회․투명 경영 가치를 반영한 개발 사업으로 지역주민과 상생 관계를 도모하고 지역 경제발전을 위한 노력을 강구할 예정이다.

 

경남은 현재 김해공항을 포함한 2029년 가덕도 신공항 개항, 2035년 남부내륙철도 부산 신항 연결, 2040년 진해 신항 완공으로 항공과 해상, 육상을 아우르는 메가 트라이포트를 구축 중에 있다.

 

또한 12조원이 투입되는 21선석의 대규모 스마트 항만인 진해 신항이 완공되면 60선석을 보유한 세계 3위 항만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한다.

 

경남은 동북아 최대 물류 중심지로서의 도약을 기반으로 글로벌 첨단물류기업들을 유치하고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전력을 다하고 있다.

 

[KJB한국방송]경남=김수철 기자 sck1850@hanmail.net 이 기자의 다른 기사 보기
태그

전체댓글 0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경남도, 첨단복합물류센터 2조 원 규모의 투자유치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